강의 원고와 자료

'행복한 국민' 과연 늘어날까

죽장 2012. 1. 31. 15:47

[2012.1.31, 조선일보]

'행복한 국민' 과연 늘어날까


- 홍영림 여론조사팀장 -



한국갤럽이 지난 연말에 발표한 '국민 행복' 여론조사에서 우리 국민이 느끼는 행복에 대해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경제성장과 국민 행복이 정비례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조사에서 '삶이 행복하다'는 국민이 52%로 절반가량이었고 '그저 그렇다'는 40%, '행복하지 않다'는 8%였다. 약 20년 전인 1993년에 실시한 갤럽조사에서도 '행복하다'는 국민은 52%였고, '그저 그렇다'(42%)와 '행복하지 않다'(6%)도 비슷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 1993년의 8402달러에서 지난해 2만3000달러 수준까지 3배가량 성장했지만 행복지수(指數)는 제자리걸음을 한 셈이다.


두 번째는 행복도가 객관적인 소득수준보다 주관적인 생활형편 인식에 따라 차이가 크다는 점이다. 이 조사에서 월평균 소득수준을 기준으로 '삶이 행복하다'는 응답 비율을 비교한 결과 '500만원 이상' 57%, '200만~499만원' 52%, '200만원 미만' 50% 등으로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다. 즉 소득 분배의 개선 노력이 곧바로 국민의 행복 증진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귀하의 생활형편이 우리 사회의 상·중·하 계층 중에서 어디에 속하는가"란 질문에 '상층'이라고 응답한 사람 중에서 '행복하다'는 비율은 71%였고, '중층'은 55%, '하층'은 35%로 차이가 컸다. 행복에는 가진 돈의 절대 액수보다 그 사람의 생활이 돈에 얼마나 좌우되는가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조사 결과였다.


성·연령별로는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은 높지만 사회의 생존경쟁과 가장(家長)의 책임으로 스트레스가 큰 40대와 50대 남성의 행복 비율이 각각 43%로 최저치였고, SNS 여론을 주도하는 20·30대는 60% 안팎에 달했다. 이와 관련해 하버드대 데릭 보크 교수는 행복학 연구서인 '행복국가를 정치하라'에서 "행복이란 보수파의 성장, 진보파의 분배 같은 돈의 이데올로기를 넘어서는 가치"라고 했다. 그는 행복의 결정 요인으로 결혼, 건강, 직장, 인간관계, 종교나 봉사활동, 정부의 질(質) 등 6가지를 꼽았고, 정부는 일자리와 은퇴 대책, 국민건강 증진, 공교육 강화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의 원고와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견의 잔인함  (0) 2012.03.05
표어로 살펴본 인구정책  (0) 2012.02.10
'경쟁없는 세상'은 좋은 세상일까  (0) 2012.01.30
유럽인, '한국'하면 떠오르는 것  (0) 2012.01.18
혁신지수 세계 3위  (0) 2012.01.16